eklipse
Korean
Korean
  • 이클립스
  • 프로토콜 개요
  • 런칭
    • 페어 런치(Fair Launch)
    • 초기유동성 제공 보상
  • 토크노믹스
    • EKL
    • vEKL
    • Token Flow
    • Boost
  • 이클립스 사용법
    • 지갑 만들기
    • 입금하기
    • 스왑(Swap)
      • 슬리피지 설정 방법
    • 유동성 공급(Pool)
    • LP토큰 스테이킹(Farm)
      • EKL 클레임
    • EKL 금고(Vault)
    • 투표하기(Vote)
    • 수수료
    • Boost 계산기
    • 교환하기(Redeem)
      • 보상 수령하기(Claim)
  • 생태계
    • 백서
    • 로드맵
    • 마케팅 소스
  • 참여
    • 텔레그렘
    • 트위터
Powered by GitBook
On this page
  • V1
  • V2
  • Future
  1. 생태계

로드맵

Previous백서Next마케팅 소스

Last updated 3 years ago

클레이튼 생태계의 자산 유동화를 촉진 시킴으로서 네트워크의 가치를 증진시킵니다.

V1

  •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동일 가치 자산 스왑

  • 하이브리드 CFMM(Constant Function Market Makers)을 활용한 자동화 가격 산정과 스왑

  • 유동성풀 참여로 취득한 LP토큰의 활용성 확대. 예) 옵티마이저

  • 유동성풀 참여로 거래수수료 수취

  • Interest-bearing 토큰을 LP 활용으로 유저 수익성 증대

  • EKL 스테이킹 참여로 수익성 향상 및 거래수수료 수취

  • 유저의 원금 보존을 위한 클레이튼 생태계 최저 거래수수료 제공

V2

  • 스테이블 스왑을 넘어 일반 스왑 지원. 예) 의 tricrypto

  • DAO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포럼 및 대시보드 지원

  • DAO 내 대표 커뮤니티 유저들과 의사결정 기구 설립

  • DAO를 통한 트레저리 관리 및 투자활동 개시

  • 오픈소스 전환으로 EKL 생태계 접근성 확대

  • 거래, 수수료, 이자, 홀더 등 데이터 대시보드 지원

  • 프로토콜 참여자에게 페어 상장, 수수료 설정 등 풀 생성 권한 및 수수료 수취 기회 제공

Future

  • 원화 CBDC와 해외 CBDC를 다루는 클레이튼 최초 외환 DEX

  • 서비스 운영권을 DAO로 완전 이전 및 법인 해체

  • Uniswap v3 등 가치는 동일하지만 범위가 다른 NFT의 교환, 이외 NFT 활용성 확대

  • 클레이튼 외 멀티체인으로 생태계 확대

  • 일반 스왑 풀 확대로 CPMM 거래소 점유율 50% 확보

  • 회전률 낮은 풀의 외부 예치로 수익성 개선

  • 합성자산 거래소 연동을 통한 대규모 OTC 거래 기능 제공

Curve.fi